[편집자 주] 경찰청의 지난 2012년 집계를 보면 우리나라의 자동차 등록대수는 1, 887만 여 대, 운전면허 소지자는 2,826만 여 명. <br /> <br />하루 평균 교통사고가 613건에 사망자가 무려 14.8명, 부상자는 944명에 달한다. <br /> <br />여기다 2012년까지 5년간의 교통사고 치사율을 보면 1차 사고의 12.1%에 비해 2차 사고가 60.3%로 5배 가량 높다. <br /> <br />'노컷 V'의 새 기획 '사고유발자'는 교통사고를 유발하게 되는 원인을 유형별로 분석해 안전운전에 대한 정보와 지혜를 공유하고자 한다. <br /> <br />눈 내리는 겨울이면 도로의 복병인 '블랙 아이스' 현상으로 인한 사고가 자주 발생한다. <br /> <br />'블랙 아이스 현상'은 도로에 내린 눈이 낮에는 녹았다가 밤사이 기온이 영하로 내려가면서 도로 위 이물질과 같이 얼어 도로가 검은색 빙판으로 변하는 것을 말한다. <br /> <br />도로위에 '보이지 않는 살얼음'이 끼는 현상이라고 할 수 있는데 운전자가 육안으로 쉽게 식별할 수 없기 때문에 더욱 위험하다. <br /> <br />경기도 평택시에 사는 황호순(34) 씨도 지난해 11월 '블랙 아이스' 사고를 당했다. <br /> <br />앞 차량이 '블랙 아이스' 구간에서 급제동하다 미끄러지면서 한 바퀴 도는 상황에서 황 씨의 차가 피하지 못하고 후방에서 추돌한 사고였다. <br /> <br />다행히 인명피해는 없었지만 "앞 차와의 안전거리를 확보해야 한다"는 '도로교통법 19조 1항 차간 안전거리 확보 의무' 때문에 황 씨의 차량에 대해 과실이 100% 인정 됐다. <br /> <br />도로교통공단은 블랙 아이스와 같은 빙판길에서 차량의 제동거리는 평소보다 3배 이상 늘어난다고 밝히고 있어서 충분한 차간 거리 유지는 필수적이다. <br /> <br />특히 터널과 지하차도가 끝나는 지점, 고가도로 산모퉁이, 응달진 도로, 해안도로 등에서 블랙 아이스 현상이 자주 발생하기 때문에 이런 곳을 지날 때는 운전에 더욱 유의해야 한다. <br /> <br />50%의 감속운행과 안전거리 확보가 필요하며 급제동과 급가속, 급한 핸들조작은 금물이다. <br /> <br />만약 미끄러지는 상황이 발생하면 핸들은 반드시 차가 미끄러지는 방향으로 천천히 돌려야 한다. <br /> <br />서울지방경찰청 교통안전과 정해준 교통조사팀장은 "겨울철 운전은 블랙아이스 현상 등 여러 가지 변수가 발생하므로 반드시 감속하고 차간 안전거리를 확보하는 습관을 갖는 것이 중요다"고 조언했다.